파일 업로드

변수의 자료형 (숫자형)

profile
실행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
1 초10 MB
📃 해결할 문제

이번 시간에는 자료형에 대해 이해해볼 거예요.

앞에서 변수를 선언할 때, 간단하게 x = 3 이런 식으로 작성하고 끝났죠?

이번 수업 때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변수라는 게 사실 자료형이라는 게 존재합니다.

x:int = 3
x:float = 5.5
x:str = 'abc'

하지만 동적 언어인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하는 과정에 자료형을 지정하는 내용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x = 3
x = 5.5
x = 'abc'

이 자료형을 파이썬에서는 선언문에 적지 않아서 보이지는 않지만, 알고 넘어가야 하는 내용이에요!

 

자료형(data type)

  •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자료형이 존재한다.
 자료형 형식지정자
Number정수형 (integer)%d
실수형 (float, double)%f
8진수 또는 16진수%o %x
String문자열%s
Boolean참/거짓%r
List리스트 
Tuple순서쌍 
set집합 
DictionaryKey와 Value로 이루어진 사전형 

위의 내용을 하나하나 알아볼까요?

 

숫자 형

  • 정수형(integer)은 음수(-)와 0과 양수(+)를 의미하는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을 말합니다.
x:int = 10 # 양수를 표현
x:int = 0 # 0을 표현
x:int = -10 # 음수를 표현

# 자료형 생략해보기
x = 10 # 양수를 표현
x = 0 # 0을 표현
x = -10 # 음수를 표현

# 형식지정자를 사용하여 출력하기
print('%d'%(x))

 

  • 실수형(Floating-point)은 소수점이 존재하여, 정수로는 표현할 수 없는 구간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x:float = 10.007 # 소수점까지 표현
x:float = 0.0  # 정수를 실수로 표현
x:float = -10.007 # 음수인 소수점까지 표현

# 자료형 생략해보기
x = 10.007 # 양수를 표현
x = 0.0 # 0을 표현
x = -10.007 # 음수를 표현

# 지수 표현 가능
x = 3.14E10
x = 3.14e-10

# 형식지정자를 사용하여 출력하기
print('%f'%(x))

 

  • 8진수형

8진수(Octal)는 0과 알파벳 o (또는 O)를 사용하여 시작하고 그 뒤에 8진수 형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x = 0o11 # 8+1=9를 의미함
x = 0o0
x = -0o11 # -(8+1) = -9

 

  • 16진수형

16진수(Hexadecimal)는 0과 알파벳 x (또는 X)를 사용하여 시작하고 그 뒤에 16진수 형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x = 0x11 # 16 + 1 = 17을 의미함
x = -0X11 # -(16+1) = -17을 의미함
x = 0xf1 # 16 x 15(f) + 1 = 241을 의미함

 


이제 실습해볼까요?

 

실습 문제

10진법으로 주어지는 값들을 정수형(10진법), 실수형, 8진법, 16진법으로 출력해 보세요.

💻 입력

10진법으로 된 양의 정수가 주어집니다.

🖨️ 출력
  • 1번째 줄 : 정수형 (10진법)
  • 2번째 줄 : 실수형
  • 3번째 줄 : 8진법
  • 4번째 줄 : 16진법

💻 예제 입력 1
168
🖨️ 예제 출력 1
168
168.000000
250
a8
💻 예제 입력 2
258
🖨️ 예제 출력 2
258
258.000000
402
102

출처: 돌핀 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