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업로드

if 문

profile
실행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
1 초10 MB
📃 해결할 문제

이번에는 if 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들어가기에 앞서 한가지 상황을 봅시다.

 

오늘 먹을 점심 식사를 고르려고 하는 상황이에요

만약 A가 나오면 한식을 먹고

B가 나오면(A가 아닌) 일식을 먹고

모두 아니면(A 도 아니고 B도 아닐 때) 양식을 먹으려고 해요

 

이런 상황을 코드로 작성한다면 어떻게 컴퓨터에게 요청할까요?

그 방법이 if 문입니다.

if 구문에는 3가지 형태가 있어요

  • if 
    • 시작부에 사용됩니다. 
    • Boolean (True/False) 형태의 조건문이 들어가야합니다.
  • elif
    • 중간부에 사용됩니다.
    • else if 의 약자입니다.
    • 앞의 조건문이 False 일때 실행되는 조건문 입니다.
    • elif 는 여러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 else 
    • 마지막에 사용됩니다.
    • 앞의 조건문이 모두 False 일때 실행되는 조건문입니다.
if 조건:

	조건이 만족하면 실행할 코드

elif 조건:

	앞의 조건이 만족하지 않고, 이번 조건이 만족하면 실행할 코드

else:

	앞의 조건이 모두 만족하지 않으면 실행할 코드

 

위의 상황을 코드로 작성해볼까요?

# card 값은 어떤 값이 나타날 지 모른다.

# 만약 card 가 'A' 라면?
if card == 'A':
	print('한식')

# 만약 card 가 'B' 라면?
elif card == 'B':
	print('일식')

# 만약 card 가 'A' 도 아니고 'B'도 아니라면?
else :
	print('양식')

 

 

# Tip

만약 다음과 같은 수학의 범위는 어떻게 코드로 작성해야 할까요?

  • 10 <= x 일 때는 A (x 가 10 이상 일 때)
  • 5 <= x < 10 일때는 B (x 가 5 이상 10 미만 일 때)
  • x < 5 일 때는 C (x 가 5 미만 일 때)
if 10 <= x:
	print('A')

elif 5 <= x < 10:
	print('B')

elif x < 5:
	print('C')

아주 간단하게 생각하면 이렇게 작성할 수 있겠지만, else if 와 else 의 특징을 잘 살려보면, 위의 코드를 간단하게 바꿀 수가 있습니다.

 

if 10 <= x:
    print('A')

elif 5 <= x:
    print('B')

else:
    print('C')

어떻게 이렇게 바뀌었을 까요?

먼저 elif (else if)는 '앞에서 실행된 조건을 만족하지 않을 때' 라는 것이 시작인 조건문 입니다.

즉 elif 는 앞의 if 문에서 x는 10 이상이 아닐 때 (10 미만 일 때) 라는 조건문이 시작입니다. 

따라서 elif 5 <= x < 10 대신 5 <= x로 작성할 수 있구요

 

else 문은 조건문을 넣지 않으며, 앞의 조건문의 모든 상황이 만족하지 않을 때를 의미하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x < 5 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실습해볼까요?

 

실습 문제

주어지는 임의의 숫자(x)들을 아래와 같이 if 문으로 분류하세요.

  • x 가 0보다 작을 때 : A Class
  • x 가 0보다 크거나 같고 10보다 작을 때 : B Class
  • x가 10일 때 : C Class
  • x가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을 때 : D Class
  • x가 20보다 클 때 : E Class
💻 입력

임의의 숫자 1개가 주어집니다.

🖨️ 출력

(A Class, B Class, C Class, D Class, E Class) 중 하나를 출력합니다.


💻 예제 입력 1
10
🖨️ 예제 출력 1
C Class
💻 예제 입력 2
21
🖨️ 예제 출력 2
E Class

출처: 돌핀 코딩